예수님의 비유해설 18: 악한 농부 비유의 구조를 보면 핵심 메시지를 알 수 있다

작성자 정보

  • 섬김이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다. 본문의 구조

 

1) 비유의 문학양식

 

일부 학자들은 이 비유에 나오는 내용이 당시 사회에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므로 이 비유는 알레고리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이 비유를 알레고리가 아닌 단순한 비유로 보는 것은 대체로 비유의 원래 모습을 찾아서 해석할 때이다. 현재 마가복음에 나타난 모습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알레고리로 본다. 알레고리로 보는 대표적인 이유는 비유에 비현실적인 내용이 많다는 것과 비유에서 구속사의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가복음의 저자적 독자는 마가복음에 나타난 비유를 읽으므로 이 비유를 알레고리로 읽고 해석했음에 틀림없다. 다만 비유의 여러 요소 중에는 알레고리적 의미를 가진 것도 있고 가지지 않은 것도 있으므로 그것을 잘 구별하여 해석해야 한다.

 

2) 비유의 구조

 

마가복음 12:1-12의 내용은 일곱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는 포도원 주인이 포도원을 잘 준비하여 농부들에게 소작을 맡긴 것이다(12:1). 둘째 단계는 주인이 농부들로부터 배반을 당해 종을 보내도 소작료를 받지 못할 뿐 아니라 종들은 해를 당하고 주인은 명예에 손상을 입는 것이다(12:2-5). 셋째 단계는 주인이 농부들에게 아들을 보내는 것이다(12:6). 넷째 단계는 농부들이 아들을 죽이는 것이다(12:7-8). 다섯째 단계는 포도원 주인이 농부들을 진멸하고 포도원을 다른 사람에게 세로 주는 것이다(12:9). 여섯째 단계는 비유의 해석으로서 시편을 인용한 것이다(12:10-11). 일곱째 단계는 비유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12:12).

 

비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포도원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건축과 머릿돌에 대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이 두 부분은 저자적 독자에게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내용으로 보일 것이다. 왜냐하면 뒷부분은 예수에 대한 변호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예수께서 거부당한 후에 변증적인 내용이 나오는 것은 저자적 독자가 내부지식(8:31)에서 이미 알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뒷부분은 이인칭복수로 바뀌면서 비유를 설명해주는 적용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뒷부분은 비유의 내용만으로는 충분히 알 수 없는 것을 설명해주는 것이다.

 

앞부분은 다음과 같은 교차대칭구조를 가지고 있다.

 

A 주인이 포도원을 농부들에게 세로 준다(1절)

B 농부들이 주인이 보낸 종들을 해친다(2-5절)

C 주인이 아들을 보내니 농부들은 아들을 죽인다(6-8절)

B' 주인이 농부들을 진멸한다(9ab절)

A' 주인이 포도원을 다른 사람들에게 세로 준다(9c절)

 

이런 구조에서는 가운데 부분인 아들을 죽인 내용이 강조된다. 이것은 아들을 죽여 그 시체를 던진 것이 가장 강한 적의와 악행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비유의 절정을 이루는 데서도 나타난다. 여기서 가운데 부분인 6-8절은 다시 다음과 같은 교차대칭구조를 이루며 더욱 인상적인 표현이 된다.

 

A 주인이 아들을 보낸다

B 농부들이 아들을 공경하리라고 생각한다

B' 농부들은 아들을 죽일 모의를 한다

A' 농부들이 아들을 죽인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0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성경공부


최근글


새댓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