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의 평화가

컨텐츠 정보

본문

김기성 전도사님

주님의 은혜 속에 늘 평안하시기를 빕니다.

전도사님이 가지고 계시는 선교의 열정이 주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좋은 열매를 풍성히 맺으시기 바랍니다.

메노나이트에 대해서는 우선 두산세계백과 EnCyber에 나온 것을 소개해드립니다. 저는 미국에서 메노나이트 교회를 본 적이 있는데 제가 본 교회는 도심에 있는 교회라 사람들이 착해보였다는 것외에 사전이 말하는 특징 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여하튼 사전의 내용이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주님의 은혜가 전도사님 가정에 늘 충만하시기를 빕니다.

---------
메노나이트교회 (Mennonite)

메노파 또는 메노나이트파로도 불린다. 메노 시몬스는 1536년 가톨릭교 신부직을 그만두고 재세례파(再洗禮派)에 가담하여 뮌스터에 성인왕국(聖人王國)을 건설하려다가 추방되었다. 그 후 25년간 목축을 생업으로 하면서 북유럽에 흩어져 있는 재세례파교도들을 모아 네덜란드에서 한 단체를 만들었다. 그 단체가 17~18세기에 크게 부상하여 메노나이트교회가 된 것이다.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 퍼져 있으나 대부분 미국과 캐나다에 집중되어 있다.

1700년 네덜란드에 있는 세례교인 수는 16만 명이었다. 그들은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이 극히 제한되어 있었으므로 상업에 눈을 돌려 부유해졌으며 도시화되었다. 인간 향상의 희망이 이성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데 달렸다고 생각한 17∼18세기 지식운동인 계몽주의를 따랐으며 저술가나 예술가, 사회사업가들을 후원하였다. 그러나 교인 수는 점점 줄어 1837년에는 1만 5000여 명이 되었다.

스위스에 있던 교도들은 18세기까지 계속된 박해를 피해 독일 남부, 네덜란드, 알자스, 미국 등지로 이주하였다. 17∼20세기 스위스, 독일 남부, 알자스의 교인들은 대부분 폐쇄적인 농업공동체를 이루고 살았으며 루터교에 바탕을 둔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폴란드 북부 비수아강 유역에 커다란 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던 교도들은 1788년 그곳을 떠나 우크라이나에 정착하였으며 후에 그 일부가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1663년부터 교도들은 선조들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특히 유럽의 군국주의를 피해 북아메리카로 이주하였다. 19세기 말까지 북아메리카에 정착한 그들은 대부분 농촌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양심과 전통에 따라 하느님을 예배하며 살았다.

교도들의 사상은 종교와 세상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외적으로는 은둔을, 내적으로는 엄격한 집단 규율을 통해 강한 문화적 연대감을 갖게 되었다. 그들은 성서적 생활방식을 보존하기 위하여, 새로운 제도와 의식 등 외부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분열도 일어났다. 그러나 20세기에는 교도들의 신조나 의식이 크게 달라져 도시에서 사회관계를 유지하며 사는 것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따라서 주변의 사회ㆍ교육ㆍ경제 문제에 개입하는 등 그들의 삶과 사상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위의 내용은 야후! 사전에서 인용한 것임을 밝힙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41 / 48 Page
번호
제목
이름

성경공부


최근글


새댓글


알림 0